스타트업 창업은 하나의 “여정”이다. 무작정 시작하기보다는 방향성과 로드맵이 필요하다. 이 글은 앞으로 총 10가지 주제로 구성된 창업 로드맵 시리즈의 첫 번째 편으로, 전체 숲을 먼저 그려보고자 한다.
스타트업 창업에는 다음과 같은 10가지 요소가 기본적으로 필요하다:
스타트업 창업 준비 완벽 가이드 – How to Start a Startup in 10 Steps (Episode 1)
-
문제 정의(고객보다 더 고객을 이해해야 한다)-Customer-Centric Problem Definition for Startups)(Episode 2)
-
아이디어 검증과 가설 설정 – Validating Startup Ideas with Pretotyping & Hypothesis Design(Episode 3)
-
시장 분석과 경쟁 구조 파악 – Customer Insight & Competitive Strategy for Startups(Episode 4)
-
콘텐츠: 초기 사용자 확보와 피드백 수집-Acquiring Your First Users & Collecting Feedback for Growth(Episode 6)
-
비즈니스 모델과 수익화 구조-Startup Monetization Strategy That Actually Works(Episode 7)
-
팀빌딩과 공동창업자 찾기 – How to Build Your Startup Team Right(Episode 8)
-
피벗 혹은 스케일 – 이후의 전략 선택-Pivot or Scale? 전략적 전환 vs 성장 가속의 기준(Episode 11)
이 10가지는 단순한 체크리스트가 아니다. 실제 스타트업 운영 중 끊임없이 순환하며 반복되는 사이클이다. 창업자는 각 단계를 선형적으로 밟는 것이 아니라, 돌아가고, 실험하고, 실패하고, 또 개선해가며 사업을 만들어나가게 된다.
왜 이런 프레임워크가 필요한가?
창업가는 스스로를 팔아야 한다.
왜냐하면 이미 제품을 만드는 건 쉬워졌고, 누구나 Notion, Slack, Bubble, Canva로 금방 뭔가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.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고객과 시장을 설득하는 것, 그리고 투자자를 설득할 수 있는 스토리와 지표이다.
이 시리즈에서 다룰 방식
본 시리즈는 단순한 HOW-TO가 아니다. 창업을 준비하는 당신의 마음과 동기, 실패 가능성과 피벗, 그리고 고객의 눈 앞에 어떻게 서야 하는지에 대해 정직하고 실용적인 가이드를 제공할 것이다. 각 장마다 실행 예시, 체크리스트, 실전 조언이 함께 붙는다. 그리고 모든 내용은 실제 투자자와 창업자들이 사용하는 검증된 방법론과 사례를 중심으로 작성된다.
다음화 예고:
문제 정의(고객보다 더 고객을 이해해야 한다)-Customer-Centric Problem Definition for Startups)(Episode 2)
[출처]
댓글 쓰기